영어ybm박준언 공통영어1 3단원 본문해석해주세요ㅠㅠ
Sentence 1:
원문: How would you react if you saw an English sign reading “Robot Ahead” on the road while driving in South Africa?
번역: 만약 당신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운전하던 중 길에서 'Robot Ahead(로봇 접근 중)'라고 쓰인 영어 표지판을 본다면 어떻게 반응하겠는가?
설명: 가정법 과거(if you saw, would you react)를 사용하여 실제 일어나지 않은 상황(남아공에서 특정 표지판을 본 상황)을 가정하고 그에 대한 반응을 묻고 있습니다. 'reading "Robot Ahead"'는 현재분사구로 'an English sign'을 수식하며 "~라고 쓰인"의 의미입니다. 'while driving'은 'while (you were) driving'에서 주어와 be동사가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Sentence 2:
원문: You would probably look around the front of your car for a robot that looks like a human.
번역: 당신은 아마도 사람처럼 생긴 로봇을 찾기 위해 당신 차 앞 주변을 둘러볼 것이다.
설명: 앞 문장의 가정된 상황에 대한 예상되는 반응을 설명합니다. 'would probably look'은 추측(~일 것이다, 아마도)을 나타냅니다. 'for a robot'은 '~를 찾기 위해'의 의미입니다. 'that looks like a human'은 주격 관계대명사절로 'a robot'을 수식하며 어떤 로봇인지를 설명합니다.
Sentence 3:
원문: You would be confused momentarily, but laugh when you learned that the term “robot” also means “traffic light” in South Africa.
번역: 당신은 잠시 혼란스러워하겠지만, '로봇'이라는 용어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신호등'을 의미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웃을 것이다.
설명: 'would be confused'와 '(would) laugh'가 but으로 연결되어 예상되는 반응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momentarily'는 '잠시'. 'when you learned...'는 시간 부사절입니다. 'that the term "robot" also means "traffic light" in South Africa'는 'learned'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로, '로봇'의 다른 의미에 대해 설명합니다.
Sentence 4:
원문: For visitors from other countries, the unique usage of this word might cause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but it also highlights the diversity of World Englishes, the different varieties of the English language used around the world.
번역: 다른 나라에서 온 방문객들에게는 이 단어의 독특한 사용법이 혼란과 오해를 야기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또한 세계 영어(World Englishes)의 다양성, 즉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영어의 다양한 변종들을 강조해 보여준다.
설명: 'For visitors...'는 전치사구입니다. 'the unique usage of this word'가 주어, 'might cause'가 동사입니다. 'might'는 약한 추측(~일지도 모른다)을 나타냅니다. 'but' 뒤의 'it'은 앞의 'the unique usage of this word'를 받으며, 'highlights'가 동사입니다. 'the diversity of World Englishes'는 'highlights'의 목적어입니다. 콤마(,) 뒤의 'the different varieties of the English language used around the world'는 'World Englishes'를 부연 설명하는 동격 어구입니다. 'used around the world'는 과거분사구로 'the English language'를 수식합니다. 이 문장은 남아공의 'robot' 사용 예시가 World Englishes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사례임을 설명합니다.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원문: English has become a widely used "lingua franca" due to its extensive usage and adoption in many countries, allowing individuals who speak different native languages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each other.
번역: 영어는 많은 나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채택됨에 따라 널리 사용되는 '링구아 프랑카'(공용어)가 되었으며, 이는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개인들이 서로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설명: 현재완료 시제(has become)를 사용하여 영어가 공용어가 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due to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 allowing...은 분사 구문으로, 주절의 결과(다른 언어 사용자들이 소통 가능하게 됨)를 부연 설명합니다. who speak...은 individual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입니다.
원문: About 1.75 b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use English as a useful means of communication, due to the high demand of English in critical fields such as science, technology, business, and entertainment.
번역: 전 세계 약 17억 5천만 명의 사람들이 과학, 기술,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중요한 분야에서 영어에 대한 높은 수요 때문에 영어를 유용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한다.
설명: 현재 시제(use)를 사용하여 현재의 사실을 나타냅니다. About은 대략적인 수치를 나타냅니다. as a useful means...는 영어의 역할을 설명합니다. due to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such as...는 critical fields의 예를 제시합니다.
원문: Moreover, in the digital era, people are exposed to a vast amount of online information and resources in English on a daily basis.
번역: 게다가, 디지털 시대에는 사람들이 매일 방대한 양의 온라인 정보와 자료에 영어로 노출된다.
설명: Moreover는 추가 정보를 나타내는 연결 부사입니다. in the digital era는 시간적 배경을 설정합니다. 수동태(are exposed to)를 사용하여 사람들이 정보에 노출되는 상황을 강조합니다. on a daily basis는 '매일'이라는 뜻입니다.
원문: These factors have consistently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use and global influence of the English language.
번역: 이러한 요인들은 영어의 광범위한 사용과 세계적인 영향력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왔다.
설명: 현재완료 시제(have contributed)를 사용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기여를 나타냅니다. These factors는 앞서 언급된 이유들을 지칭합니다. consistently는 부사로 '지속적으로' 기여했음을 나타냅니다.
원문: (As English ability grows in different nations) various English varieties have emerged worldwide, including Singaporean English, Korean English, Indian English, and others.
번역: (다른 나라에서 영어 능력이 성장함에 따라) 싱가포르 영어, 한국 영어, 인도 영어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영어 변종들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났다.
설명: 괄호 안의 As...는 부사절로 이유나 시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함에 따라). 주절은 현재완료 시제(have emerged)를 사용하여 다양한 영어 변종들이 생겨난 결과를 보여줍니다. including...은 varieties의 예를 제시합니다.
원문: Previously, British English and American English were considered the standard models.
번역: 이전에는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가 표준 모델로 여겨졌다.
설명: Previously는 과거 시점을 나타냅니다. 수동태(were considered)를 사용하여 과거의 인식을 설명합니다.
원문: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merican English was initially seen as a regional variation rather than a standard form.
번역: 그러나, 미국 영어가 처음에는 표준 형태라기보다는 지역적 변종으로 여겨졌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명: However는 앞 내용과 대조를 나타냅니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구문은 주목할 만한 사실을 도입합니다. that 이하 명사절 안에서 수동태(was initially seen)가 사용되었습니다. rather than은 'A라기보다는 B'의 의미로 regional variation과 standard form을 비교합니다.
원문: As a result, we now refer to the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 as “Englishes,” not simply “English.”
번역: 결과적으로, 우리는 이제 영어의 다양한 변종들을 단순히 "영어"가 아니라 "영어들"(Englishes)이라고 지칭한다.
설명: As a result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refer to A as B는 'A를 B라고 부르다/지칭하다'라는 뜻입니다. not simply "English"는 'Englishes'라는 용어 사용을 강조하기 위해 대조합니다.
English Evolves to Fit Local Realities
원문: When a language is adopted in a specific region or community, it is natural for it to undergo changes or modifications as the local people utilize the language to more accurately reflect their daily realities and cultural contexts.
번역: 언어가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에서 채택될 때, 현지 사람들이 그들의 일상적인 현실과 문화적 맥락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그 언어를 활용함에 따라 그것(언어)이 변화나 수정을 겪는 것은 자연스럽다.
설명: When...은 시간 부사절입니다. 주절은 it is natural for X to Y 구문('X가 Y하는 것은 자연스럽다')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it은 가주어, to undergo...가 진주어입니다. as the local people...은 이유나 동시 상황(~함에 따라)을 나타내는 부사절입니다. to more accurately reflect...는 목적(~하기 위해)을 나타내는 to부정사 구입니다.
원문: Linguistic change takes place across various aspects of language, including grammar,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everyday expressions.
번역: 언어적 변화는 문법, 발음, 어휘, 일상 표현을 포함한 언어의 다양한 측면에서 일어난다.
설명: takes place는 '발생하다, 일어나다'는 뜻의 동사구입니다. across various aspects...는 변화가 일어나는 범위를 설명합니다. including...은 aspects의 예를 제시합니다.
원문: The change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vocabulary.
번역: 그 변화는 특히 어휘에서 두드러진다.
설명: 변화가 어휘에서 특히 두드러진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particularly는 부사입니다.
원문: English vocabulary has been modified and new expressions have been created within the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
번역: 영어 어휘는 수정되어 왔고 새로운 표현들은 다양한 영어 변종들 내에서 만들어져 왔다.
설명: 두 개의 절이 and로 연결되었으며, 모두 현재완료 수동태(has been modified, have been created)를 사용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변화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원문: In Indian English, the term “prepone” was coined to mean “to reschedule” as the opposite of “postpone.”
번역: 인도 영어에서는 'postpone(연기하다)'의 반대 개념으로 '일정을 앞당기다(reschedule)'를 의미하기 위해 'prepone'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설명: In Indian English는 배경을 설정합니다. 수동태(was coined)를 사용하여 용어가 만들어졌음을 나타냅니다. to mean...은 목적(~을 의미하기 위해)을 나타냅니다. as the opposite of...는 'postpone'과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원문: For instance, if a meeting scheduled for Thursday is moved to Wednesday, it is considered “preponed.”
번역: 예를 들어, 목요일로 예정된 회의가 수요일로 옮겨지면, 그것은 'preponed'(일정이 앞당겨진)된 것으로 간주된다.
설명: For instance는 예를 제시합니다. if...는 조건절입니다. scheduled for Thursday는 과거분사구로 a meeting을 수식합니다. 수동태(is moved, is considered)가 사용되었습니다.
원문: Hong Kong English speakers shout “add oil” to show encouragement or support, a direct translation from a Chinese expression, which originally meant to inject more gasoline into an engine.
번역: 홍콩 영어 사용자들은 격려나 지지를 보여주기 위해 "add oil(기름 넣어!, 힘내!)"이라고 외치는데, 이는 중국어 표현을 직역한 것으로 원래는 엔진에 휘발유를 더 주입하는 것을 의미했다.
설명: 주절은 홍콩 영어 사용자들의 행동을 묘사합니다. to show...는 목적을 나타냅니다. 콤마 뒤의 a direct translation...은 앞의 "add oil"을 부연 설명하는 동격 어구입니다. , which originally meant...는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으로, 중국어 표현의 원래 의미를 부가적으로 설명합니다.
원문: In the Philippines, there are many houses with “dirty kitchens,” which are not actually “dirty” kitchens.
번역: 필리핀에는 "더러운 부엌(dirty kitchens)"이 있는 집이 많은데, 이것은 실제로는 "더러운" 부엌이 아니다.
설명: There are... 구문으로 존재를 나타냅니다. with "dirty kitchens"는 houses를 설명합니다. , which are...는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으로, 'dirty kitchens'의 실제 의미가 문자 그대로 '더럽다'는 것이 아님을 설명합니다.
원문: Instead, they refer to kitchens outside the home, where most of the cooking takes place to avoid trapping heat and smell inside the house in a hot climate.
번역: 대신, 그것들은 집 바깥에 있는 부엌을 지칭하는데, 더운 기후 속에서 집 내부에 열기와 냄새가 갇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대부분의 요리가 그곳에서 이루어진다.
설명: Instead는 앞 내용(문자 그대로 더러운 부엌이 아님)과 대조하며 실제 의미를 제시합니다. they는 'dirty kitchens'를 가리킵니다. refer to...는 정의를 내립니다. , where most...는 관계부사 계속적 용법으로, 이 부엌의 장소적 특징과 기능을 설명합니다. to avoid...는 목적을 나타냅니다.
원문: This evolution allows language to better match up with the everyday experiences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communities that utilize it.
번역: 이러한 진화는 언어가 그것을 활용하는 공동체의 일상적인 경험 및 문화적 맥락과 더 잘 부합하도록 해준다.
설명: This evolution은 앞에서 설명한 언어 변화 과정을 의미합니다. allow X to Y 구문('X가 Y하도록 허용하다/가능하게 하다')이 사용되었습니다. match up with은 '~와 부합하다, 어울리다'는 뜻입니다. that utilize it은 communitie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입니다.
Foreign Languages Enrich English
원문: (As these English expressions are widely used locally and gain exposure in other countries), the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English vocabulary.
번역: (이러한 영어 표현들이 현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다른 나라에서도 알려지게 되면서,) 그것들은 영어 어휘의 확장과 다양화에 기여한다.
설명: 괄호 안의 As... 부사절은 이유나 동시 상황(~하면서, ~함에 따라)을 나타냅니다. 주절은 이 표현들이 어휘 확장에 기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원문: Moreover, English dictionaries have incorporated words borrowed from foreign languages.
번역: 게다가, 영어 사전들은 외국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을 포함해 왔다.
설명: Moreover는 내용을 추가합니다. 현재완료 시제(have incorporated)를 사용하여 과거부터 단어들을 포함해 왔고 현재도 그러함을 나타냅니다. borrowed from...는 과거분사구로 words를 수식합니다.
원문: Some of the most popular English words borrowed from foreign languages include established terms such as tsunami, emoji, and origami in Japanese.
번역: 외국어에서 차용된 가장 인기 있는 영어 단어들 중 일부는 일본어의 쓰나미, 이모지, 오리가미와 같이 자리를 잡은 용어들을 포함한다.
설명: Some of...가 주어 부분입니다. borrowed from...은 words를 수식합니다. include가 동사입니다. established terms는 '자리를 잡은 용어'라는 뜻이며, such as...는 그 예를 제시합니다.
원문: Hygge in Danish and kiosk in Turkish have also gained worldwide currency among English speakers.
번역: 덴마크어의 '휘게'와 터키어의 '키오스크' 또한 영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세계적인 통용성을 얻었다.
설명: 추가적인 외래어 차용의 예를 보여줍니다. 현재완료(have gained)를 사용했습니다. worldwide currency는 '세계적인 통용성, 널리 사용됨'을 의미합니다.
원문: Recently, as the Korean wave has spread globally, words related to Korean culture such as kimchi, hanbok, kimbab, and hallyu have been added to English dictionaries.
번역: 최근에는 한류가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김치, 한복, 김밥, 한류와 같은 한국 문화와 관련된 단어들이 영어 사전에 추가되어 왔다.
설명: Recently는 시점을 나타냅니다. as the Korean wave...는 이유/시간 부사절입니다. 주절은 현재완료 수동태(have been added)를 사용하여 단어들이 추가되었음을 나타냅니다. related to...는 words를 수식합니다. such as...는 예를 제시합니다.
원문: More and more Korean words including oppa, noona, mukbang, daebak, and so forth are being added to English dictionaries, resulting in a richer English vocabulary.
번역: 오빠, 누나, 먹방, 대박 등을 포함한 점점 더 많은 한국어 단어들이 영어 사전에 추가되고 있으며, 그 결과 더 풍부한 영어 어휘가 생겨나고 있다.
설명: More and more는 점진적인 증가를 나타냅니다. 현재진행 수동태(are being added)를 사용하여 지금도 계속 추가되고 있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including...은 예를 제시합니다. resulting in...은 분사 구문으로 결과를 나타냅니다.
원문: (As words and expressions related to Korean culture are included in English dictionaries), English vocabulary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round the world is deepened, accordingly.
번역: (한국 문화와 관련된 단어와 표현들이 영어 사전에 포함됨에 따라,) 영어 어휘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으며 전 세계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 그에 따라 깊어지고 있다.
설명: 괄호 안의 As...는 이유/시간 부사절입니다. 주절은 and로 연결된 두 개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둘 다 현재진행형(is becoming, is deepened - 수동태 결합)을 사용하여 진행 중인 변화를 나타냅니다. accordingly는 '그에 따라, 상황에 맞게'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Be Open Towards World Englishes
원문: (Using English expressions that incorporate the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we are creating opportunitie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and respect for other cultures.
번역: (다른 나라의 문화를 포함하는 영어 표현들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다른 문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존중을 넓힐 기회를 만들고 있다.
설명: 괄호 안의 Using...은 분사 구문으로,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냅니다 (~함으로써). that incorporate...는 English expression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입니다. 주절은 현재진행형(are creating)을 사용하여 현재 진행 중인 행동을 묘사합니다. to broaden...은 목적을 나타냅니다. understanding of and respect for는 병렬 구조입니다.
원문: In this respect, English speakers around the world need to be open to other English speakers.
번역: 이러한 점에서, 전 세계의 영어 사용자들은 다른 영어 사용자들에게 개방적일 필요가 있다.
설명: In this respect는 앞 문장의 내용과 관련하여 '이러한 점에서'라는 의미입니다. need to be open to...는 필요성을 나타냅니다.
원문: (Embracing the diversity of English), we can build a more inclusive community of English speakers where everyone’s voice is heard (without prejudice or stereotypes).
번역: (영어의 다양성을 포용함으로써,) 우리는 모든 사람의 목소리가 (편견이나 고정관념 없이) 경청되는 더 포용적인 영어 사용자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
설명: 괄호 안의 Embracing...은 분사 구문으로, 조건이나 방법을 나타냅니다 (~함으로써). 주절은 조동사 can을 사용하여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where everyone's voice is heard...는 community를 수식하는 관계부사 절입니다. where는 '그 공동체 안에서(in which)'의 의미입니다. 수동태(is heard)가 사용되었습니다. 괄호 안은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입니다.
원문: English does not solely belong to native speakers, but instead it is a language for anyone who uses it.
번역: 영어는 원어민에게만 속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 그것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언어이다.
설명: not solely A, but instead B 구문은 '단지 A가 아니라, 대신 B이다'라는 의미로 대조를 통해 강조합니다. belong to는 '~에게 속하다'는 뜻입니다. who uses it은 anyone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입니다.